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제가 알바하는 곳에대해서 조금 조사를 해보았습니다. 갑자기 궁금해 지더라구요. PL상품인가 머시긴가 한다면서 종업원을 힘들게 해서말이죠.
이런것이 과연 이마트의 경영전략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이마트의 경영전략에대하여 조금 적어볼까합니다.
내용이 조금 딱딱하니까 보기 싫으시면 PAss~ 입니다
이마트의 경영전략
1) 비용우위 창출의 현황
E-mart의 비용우위 전략으로 다점포, PB상품의 확대, 유통단계축소, 차별화된 유통System이 있다.
일반적으로 비용우위의 결정요인으로는 규모의 경제, 경험효과, 투입요소비용, 생산시설활용도,
인터넷을 이용한 비용절감, 생산공정 및 제품디자인 개성, 조직의 효율성 증대 등을 찾아볼 수 있는데 E-mart
경우 규모의 졍제원리에 입각한 다점포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E-mart의 점포수는 2009년 현제 기준 124개로써 국내 유통업계중 가장 많은 점포수를 가지고있다.
이는 시장에서의 선점효과를 누리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PB상품(자회사 개발상품)의
개발하고 그 가격대를 고급형, 보급형, 알뜰형 3가지로 구분하여 가격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구매협상력 역시 이용하여 원가를 절감 하는데 한 몫을 하고 있다.
2) 비용우위 창출 전략의 유지방안
한국형 할인매장이라는 토착화전략을 실행. 또한, 원스톱 쇼핑을 구현하고, 점포수를
지속적으로 늘려 나가고있다. 1993년 단일점포로 시작한 E-mart가 16년만에 121개의
한국 최대 규모의 유통마트로 거듭난것도 모두 이러한 공격적 전략 때문이다. 또한, 전단지,
간지 등을 활용함으로써 매장상품에 대한 최저가격을 적시에 홍보함으로써 고객 스스로찾아오게 끔하였다.
PB상품역시 가격대를 다르게함으로서 타 PB상품과 브랜드 상품과의차별화를 두고있다. 또한 PB상품을
패키지화 시킴으로서 보더 효율적인 규모의 경제를 이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PB상품 이미지 개선을 위해
"Best e-mart에서 Save하세요라"는슬로건 아래에 공격적인 마케팅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최근 E-mart는 PB상품 뿐 아니라 PL상품역시 같이 홍보하고 있다. PB상품이 저가형 알뜰제품이라고
본다면 PL상품은 프리미엄상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E-mart는 PB상품만으로는 기업의이미지개선 및
수익창출에 한계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PL상품같이 생산 판매 하고 있다.
이로써 E-mart는 타 마켓보다 소비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고, 소비자역시 이러한 E-mart에게 다가가고 있다.
이마트의 PL상품 종류
3) 비용우위 유지방안의 타당성(개인견해)
전국최고의 점포수를 가지고있는 이마트는 2008년 브랜드이미지 2위에 뽑힐 정도로
대한민국 국민들의 머릿속에 뿌리깊게 박혀있는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지속적인 매장의확장과,
개선은 소비자들에게 다가가기위한 최선의 방법이다. 유통업계에서는 "E-mart가주변에 생기면
주변 상권이 모두 E-mart로 쏠리게 된다." 는 말이 나올 정도니까 E-mart의 영향력은 엄청나다고 할 수 있다.
이미 이 한반도에 있을만한곳은 다 있다는 E-mart는 국내뿐 아니라 중국에서도 점포수를
50개까지 확장한다는 전략을 밝혀 향후 E-mart의글로벌화와 중국시장의 저가 노동력을 이용한
비용우위역시 기대가 된다.
중국내의 이마트
PB상품에 대한 전략은 E-mart의 비용 우위전략 중 유통선상의 라인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볼수 있다.
그리고 그 타켓이 중산층 이 대다수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만 하다.
하지만 PL상품의 경우는 이야기가 다르게 흘러간다. 이마트를 주로 이용하는 고객층은프리미엄제품 보다는
알뜰제품을 사가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다. 실제로 쇼핑을 하는 계층은 여성, 특히나 어머님층이 대다수이다.
PL상품인 Best상표의 제품의 소비는 어머님층 에게 외면 받고있다. "프리미엄 제품이라면 차라리 세계에서
제일 잘팔리는 상표를 사가고 말지"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 이다.
그에 반해 E-mart상표와, Save상표는 기타 음료부분을제외하고는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받고 있다.
백화점이 프리미엄제품을 판다면일반 마트는 중저가형 알뜰형 제품을 파는 것이 업계의 관례였다.
E-mart의 이 실험적인 PL상품비용우위 전략이 어떠한영향을 받아서였는지는 모르겠지만 소비자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