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 알리다./경제, 경영

놀면서 먹히는 밈 마케팅 (Meme Marketing)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마케팅을 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본인들의 상품이나 서비스 또는 마케팅포인트가 자연스럽게 사람들에게 전파되어 말 그대로 바이럴 되기를 원하는 것은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 이는 소비자들에게 많이 회자가 됨과 동시에 하나의 놀이문화가 될 수 있어서 브랜드, 상품, 서비스를 알리는데 큰 기여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을 우리는 조금 있어보이게 밈 마케팅(MEME Marketing) 이라고 한다.



#1. 밈(MEME)이 뭔데?

- 밈의 사전적(?)의미는 "¹비유전적 문화 요소[문화의 전달 방식](유전자가 아니라 모방 등에 의해 다음 세대로 전달됨)" 이라는 뜻인데 쉽게 말해서 하나의 문화적요소가 패러티, 복제되고 증식되는 문화적요소를 말한다. 참고로 이 밈이라는 용어는 리처드 도킨스라는 인물이 이기적 유전자라는 책을 통해서 소개된 내용. (책을 읽어보진 않았다.)



#2. 밈의 사례

- 밈의 사례라고 한다면 짤방을 들 수 있는데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여러가지 문화컨텐츠를 패러디하여 그것이 다시 되는 과정을 반복하기에 밈이라고 볼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 본다면 게임을 하면서 나오는 재미난 음성을 자신의 영상에 효과음으로 사용하는 것 역시 밈의 한 형태라 할 수 있겠다.


그 외에도 과거 영화 ²히말라야 포스터를 가지고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SNS 에 올리며 하나의 "놀이" 문화가 되었는데 이도 밈의 한 형태. 즉, 다양한 사례를 통해서 밈이란 의외로 광범위하게 퍼져있고, 우리가 알게 모르게 밈이라는 하나의 문화를 정착하는데 일조하고 있다는 것.


출처 : 슈프림공식홈페이지


#3. 밈 마케팅이란?

- 이러한 밈이라는 문화현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로 밈 마케팅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적인 의류 브랜드 슈프림(Supreme)은 머니건이라는 제품을 내놓았는데 쉽게 말해서 힙합 뮤비에서 볼 수 있는 "지폐쏘는 총" 을 내놓은 것이다. 실제로 많이 팔렸을까? 팔리지 않았을까? 이건 중요하지 않다. 많은 뮤비에서 사용되었고, 이를 많은 사람들이 패러딜하였다.


그 뒤에는 벽돌도 판매를 하였는데 이를 본 많은 해외 네티즌들이 그냥 벽돌에 슈프림로고를 적어 SNS에 올리거나 슈프림 뿐 아니라 구찌와 같은 명품 로고를 그려서 올리는 등 한때 이슈가 되기도 했었다. 그 외에도 밈 마케팅의 사례는 다양하게 찾을 수 있으며 최근들어서 이를 노리는 마케팅전략이나 브랜드들이 많이 보인다.



#4. 밈 마케팅의 목적

- 밈 마케팅의 목적은 간단하다. 알리기, 바이럴. 그들 내 브랜드의 콘텐츠를 소재로한 다양한 패러디물을 만들어내고 그것이 유행이, 트랜드가 되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물론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순 있겠으나 필자가 보기에 밈은 제품을 소개하거나 알리는 것이 아니라 제품과 브랜드를 하나의 놀이처럼 생각하여 공유하는 것에 더 가깝기 때문에 브랜드에 더 집중한 전략이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매출증대 = 마케팅 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에게는 이 밈 마케팅은 어울리지 않는다.



#5. 밈 마케팅이 성공하려면?

- 그럼 밈 마케팅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필자는 솔직히 이 밈 마케팅을 전략적인 움직임을 통해 투자를 통해 얻어지는 결과라고 보지 않는다. 그럼? 운. 그래 솔직히 운이 70%이상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30% 요소를 가지고 있다면 분명 70% 운도 따라주지 않을까 싶다. 필자가 생각하는 30%의 요소는 아래와 같다.


(1) 재미(흥미)

(2) 사회에 해가 되지 않아야 할 것

(3) 단순 할 것

(4) 메시지를 던질 것

(5) 컨셉이 분명할 것


밈은 앞서 말했지만 재미있을 때 더 많이 사람들에게 회자가 된다. 또한 패러디를 하는데 그 과정이 어렵거나 복잡하지 않아야 하며 (단순성) 패러디의 과정에서 사회에 해가 되지 않아야 한다. 그래더 부담 없이 더 널리 퍼지니... 그리고 컨셉이 분명해야 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컨셉이란 밈으로 유통되고자 하는 콘텐츠의 콘셉트을 말한다. 그리고 그것이 어떠한 메시지를 주어야 한다. 쓸데 없어도 좋다. 쓸데 없는 것 자체가 메시지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