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전 글 보기

| IT칼럼 | 카카오톡의 무리수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의 무리수 잃었던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까?


요즘 카카오톡에서 거기 텔레그램으로 사이버 망명을 하는 인원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는 기사를 볼 수 있다. 이에 위기를 느낀 다음카카오는 검찰의 감청 및 여러 협조에 대해서 공무집행방해 죄를 때려 맞더라도 절대 공조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내비치고 있다. 엄청난 초강수를 둔 것이다. 그런데 과연 이런다고 해서 돌아선 사용자를 회복할 수 있을까?


내 생각은 부정적이다. 한 때 정부의 사찰논리이 있을 때 도 국민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자유민주주의 공화국 대한민국에서 사찰이라는 단어는 상당히 낯설로 거부감이 드는 단어였고, 그것이 민간인 즉, 죄를 짓지 않는 <법적으로 죄가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했다는 것 만으로도 상당히 민감했으니 말이다. 


그런데 이제는 카카오톡이다. 카카오톡이 무엇인가? 명실상부 대한민국 1위 MIM 서비스로 스마트폰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설치가 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다. 그런데 그런 매시징이 감청당하고 대화 내용이 수집당하여 어딘가로 빠져나가고 있다면 과연 어떤 인물이 반겨하겠는가?


상황이 이렇다 보니 카카오톡도 위기의식을 느끼고 강한게 나가보려는 전략을 구상한 것 같다만 이미 너무 늦은 것이 아닌가 싶다. 만약 이러한 강수 (영장집행 거부) 를 두려거든 훨씬 더 일찍 했어야 했다. 카카오톡 서버가 압수수색을 당하고 나서 바로 말이다. 아니 적어도 법무팀 논란이 있을 때라도 말이다.





이미 상당수 많은 인원이 텔레그램으로 이동을 한 상태이다. 물론 텔레그램이 카카오에 비해서 인터페이스가 더 우수하고 당장 사용자가 많은 것은 아니다. 불편한 부분도 있고, 서비스적인 측면에서도 아쉬운 부분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왜 텔레그램으로 이동하고 텔레그램을 사용하려는 것일 까? 바로 신뢰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보통의 경우 어떠한 범죄가 발생했을 때 근처의 유사 전과자를 의심하기 마련이다. 이것은 전과자가 사회적으로 신뢰를 잃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제 카카오톡도 전과자이다. 강경하게 나가고 실제로 또 그렇게 한다고 하더라도 이미 사용자들에게 신뢰를 잃은 카카오톡은 아마도 이 망명 현상을 끊어내기란 쉽지 않을 것 같다.


사기꾼임을 뻔하게 알면서 사기꾼의 내미는 계약서에 덜컥 사인을 하는 사람은 없으니까…


그럼 어떻게 해야 카카오톡은 이과 같은 연쇄작용을 끊어낼 수 있을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단기적으로 힘들어 보인다. 우선 잃었던 신뢰를 회복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사용자들에게 정말로 믿음을 주는 서비스라는 것이 공공적으로 입증되어야 한다. 


뉴스에 “다음 카카오대표. 영장 불이행에 기소” 라는 타이틀이 장식이 된다면 카카오톡의 신뢰는 회복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물론 강제집행방해가 아닌 이상 이런 처벌은 받기 힘들 것 같긴 하다만…>


<아 그렇다고 절대 이렇게 하라는 것은 아니다. 사실 정부기관이 합당한 이유에서 영장을 신청하고 정보를 받아오는 것을 거부하는 것은 초법적인 일로 위험한 발상이다. 참고로 외국의 경우 영장보여주면 정보를 제공해주기도 하지만 이 때 정보의 제공자는 공식보고서 및 발표를 사용자들에게 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카카오톡의 경우 발표도 하지 않았고 심지어 정보의 대상에게 통보를 이 내용에 대해 매우 늦게 통보를 한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아무튼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으로 증명하고 또 사람들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그래야 잃었던 신뢰와 사용자를 모두 다시 찾아올 수 있을 것이다.